간쑤성
실크로드와 일대일로
Tour Project


실크로드와 일대일로를 통해 알아보는 간쑤성
역사와 현재를 아우르는 전통과 격변의 간쑤성
간쑤성은 황하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고, 서북 5개 성과 동부지역을 연결하는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과거 실크로드 시대부터 동 서간 교류의 중요 통로로써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최근 중국이 추진하는 '신 실크로드' 사업인 '일대일로'에서도 간쑤성은 중요 지역으로 선정되어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간쑤성의 역사
간쑤성은 고대 문화의 발전이 꽤 이른 지역 중 하나다. 이는 최근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중기와 말기의 석기, 골각기, 동물의 화석과 인류가 불을 이용했던 여러 흔적과 7,000여 년 전 신석기 시대 여러 유적 8,000여 점이 증명한다.
진나라 때는 위하 상류와 경하 유역 등지에서 온난하고 다습한 기후와 비옥한 황토를 비롯한 자연환경을 이용해 농업이 발전했다.
한의 절정기인 한 무제 시대 이후 동서 교역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이 지역은 실크로드의 간선 지대로 부각이 되고,
삼국의 대립 이후 전개된 분열 시대에는 관무역이 쇠퇴하는 대신 변경 무역이 왕성하게 전개되었다.
수에 들어서는 무역이 도읍인 장안과 낙양으로 연장되어 동서 교통 문호로서 흥성한 후 한족, 몽골족, 티베트족 등 여러 민족 간 분쟁이 계속되었고
안사의 난 이후 국세 쇠락과 더불어 티베트의 잦은 침입과 함께 천산 이북에서 위구르가 진출하여 이 지역은 당 휘하에서 멀어졌다.
11세기에서 13세기에서는 서하국이 간쑤 성 대부분을 지배하기도 했다.
당 말기부터 주변 민족국가인 토번, 티베트, 서하, 요나라, 금나라의 세력이 세지면서 중국 왕조의 서역 진출이 퇴조한 후
명 대에 해상 교통 발달 덕분에 하서를 중심으로 전개되던 실크로드 이용이 감소하면서 간쑤 성의 경제도 쇠퇴하게 되었다.
청 대에 들어 간쑤 성으로 독립되고 란저우가 성도가 되었다. 광서 10년인 서기 1884년에는 간쑤 성에서 신장 성을 분리했다.
1929년에 닝샤 성과 칭하이 성을 분리하여 독립시키고, 1954년에 닝샤 성을 간쑤 성에 다시 포함시켰다.
1958년 양 성을 재차 분리시켜 닝샤 후이족 자치구가 성립하였고, 1963년 서북부 성중 최후로 성의 경계선을 확정했다.

간쑤성의 지리와 기후
간쑤 성은 중국 서부, 황하 상류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샨시, 남쪽으로는 쓰촨, 서쪽으로는 칭하이, 신장, 북쪽으로는 네이멍구 ,닝샤와 경계를 접한다.
간쑤 성의 지형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산지, 고원, 평야, 하곡, 사막이 뒤섞여 분포한다. 지세는 서남에서 동북으로 기울어져 있고, 폭이 좁고 긴 모양이다.
동서로 1655km, 남북으로 530km이며, 각 현의 특징에 따라 룽난산지, 룽중황토고원, 간난고원, 허시주랑, 치롄산맥, 허시주랑 이북지대 등
6개의 큰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간쑤 성은 황토지대이며, 고원들이 합쳐지는 지대이다. 지역 내의 형세가 복잡하고 산맥이 가로 세로로 교차하며, 해발고도 차이가 현저하다.
고산, 분지, 평원, 사막 등이 아울러 있다. 동남에서 서북으로 북아열대 습윤 지대로부터 고한지대, 건조지대까지 다양한 기후 유형을 가지고 있다.
간쑤성의 기후는 건조하고, 일교차가 크며, 일조량이 풍부하며, 태양 복사열이 강하다.
연평균 기온은 연평균 기온은 0℃~14℃이며, 동남에서 서북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간쑤성의 인구
2,626만 명 (2018년)
한족 90%, 그 외 후이족, 만족, 몽고족 등 소수민족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