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쑤성
실크로드와 일대일로
Tour Project
실크로드의 갈림길
둔황
중국 간쑤성 서부 주취안지구 허시저우랑 서쪽 끝, 당허강 유역 사막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사막지대에 발달한 오아시스 도시로서,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실크로드의 관문으로, 고대 동서교역, 문화교류 및 중국의 서역 경영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BC 1세기 초에 한무제는 이곳을 서역 진출의 전진기지로 삼아 둔황군을 두고 부근에 옥문관, 양관의 두 관문을 설치하는 한편, 둔전병과 한인의 식민을 투입함으로써 둔황은 그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 뒤 서방과의 접촉지를 차지하여 한인, 페르시아인, 투르크인, 인도인 등 여러 종족이 어울려 사는 국제성을 띤 무역도시로 번영하였다.


옥문관 서역으로 출발하는 관문
둔황시 서북방면으로 약 10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옥문관.
옥문관은 투루판을 지나 천산산맥을 따라 중앙아시아로 뻗는 오아시스 북로의 첫번째 관문으로 이 옥문관을 벗어나면 중국땅을 떠나서 서역으로 나가는 것이자,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여기는 중화사상을 가진 중국인의 입장에서는 이 관문 바깥이 세상밖이라 여겼던 곳이기도 하다.
옥문관은 '옥이 들어오는 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고대 옥의 산지인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에 위치한 곳에서 중국의 은, 주 시대부터 옥을 수입해 왔다고 한다. 한무제 때는 이 곳에 '옥문관도위'를 설치하고 흉노를 공략하기 위해서 수차례 출병하였으며, 실크로드를 개척한 장건 역시 이 곳을 거쳐 서역으로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양쪽으로 만리장성이 연결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성문만 외로이 남아 있다.


양관 실크로드 남도를 출발하는 관문
양관은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쿤룬산맥을 따라 인도 방면으로 이어지는 남도 관문으로, 신라의 고승 혜초스님이 인도를 향한 순례의 길에 지나갔던 관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지금 양관에는 성문, 성곽이 남아 있지 않고, 단지 모래 언덕 위에 당시의 봉수대만이 남아 있다.
양관은 둔황 북쪽의 옥문관과 함께 둔황 이관으로 불렸다. 둔황 남쪽 75km 떨어진 관문으로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하여 훨씬 볼거리가 많도록 정비되었다.
한무제 때에 세워진 방어 요새로 옥문관과 함께 서역으로 통하는 문호로서, 옥문관을 지나면 북도로, 양관을 지나면 남도로 통하였다.

월아천 마르지 않는 초승달 모양의 오아시스

초승달 모양의 오아시스, 월아천은 사막의 목마름을 풀어주는 아름다운 곳이다. 약 3,000년 동안 단 한번도 마른 적이 없다.과거 실크로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소중한 쉼터로 이용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둔황은 3만 년 전만 해도 황량한 사막지대가 아닌, 삼림이 우거진 숲이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둔황이 갑자기 삭막한 사막으로 변하기 시작했고 그 소식을 들은 하늘의 선녀가 너무도 슬픈 나머지 눈물을 흘렸다. 그 눈물이 한두 방울씩 떨어져 현재의 아름다운 월아천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10여 년 전부터 월아천이 점점 마르고 있어 인근에 조성한 인공호수로부터 물을 받아 어렵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명사산 바람이 불면 우는 산

과거 실크로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낙타를 타고 이 모래산을 건너야 했는데, 바람에 모래가 날리는 날이면 마치 사람이 흐느끼는 소리를 낸다고 해서 명사산이란 이름이 붙었다.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예전에 두 나라의 군대가 전투를 벌이는 도중 갑자기 날아온 모래바람이 불어와 두 군대를 모두 파묻어 버렸다. 결국 명사산의 울음소리는 땅속에 파묻힌 군인들의 유령이 내는 울음소리라는 것이다. 이 울음소리는 악명이 높아 이곳으로 들어온 사람들은 길을 헤매고 결코 돌아오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고 한다.

막고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불교 유적 석굴 사원

막고굴은 북조(北朝) 시기부터 원나라 시대에 걸친 세월 동안 만든 동굴 735개로 이루어진다. 전체 석굴은 남쪽과 북쪽의 두 구역으로 나뉘는데, 남쪽 구역이 막고굴의 중심이다. 과거 승려들이 종교 활동을 행하던 장소로 동굴 487개가 있는데, 모두 벽화 또는 불상이 있다. 북쪽 구역에는 동굴 248개가 있는데 이 중 단 5개만 벽화나 불상이 있고, 나머지는 모두 승려들이 수행, 거주하거나, 죽은 뒤 매장된 장소이다.
막고굴이 최초로 만들어진 시기는 오호십육국 시대 전진 시대인 366년으로 추정된다. 승려 낙준이 이 곳 암벽에 석굴을 파고 불상을 조각한 것을 시작으로, 그 후 법량선사 등이 계속 동굴을 파고 수련하게 되면서 이곳은 막고굴, 즉 '사막의 높은 곳의 굴'이라 불리게 되었다.
막고굴은 오랜 대자연의 풍파와 역사적 파괴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현존하는 불교예술의 가장 위대한 보고라는 타이틀을 지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신라의 승려 혜초가 723년부터 727년까지 다섯 천축국을 답사하고 그들 나라의 종교, 정치, 문화 등을 기록한 여행기인 "왕오천축국전"이 막고굴에서 발견되었다.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폴 펠리오가 발견하여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